본문 바로가기

뉴턴, 아리스토텔레스, 과학연구, 과학 역사, 기초 과학

진동이 중요한 이유와 파동의 개념

진동이 중요한 이유와 파동의 개념

진동이 중요한 이유와 파동의 개념
진동이 중요한 이유와 파동의 개념

가장 간단한 운동인 진동에 대해서 설명을 해볼까 합니다. 그리고 사실 이 진동은 이 자체로도 굉장히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요. 아마도 우리 자연에서 일어나는 운동의 거의 90% 이상은 진동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진동은 다른 게 아니라 그냥 용수철에 매달린 물체의 운동, 이런 걸 우리가 진동이라고 하죠. 또는 시계추의 운동, 이런 것이 바로 진동입니다. 이걸 물리학에서는 앞에 단 자를 붙여서 단진동이라고 하기도 하고 또는 단조화 운동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여러분이 화면에서 다양한 진자의 운동, 즉 진동을 보고 계시는데요. 용수철이 위아래로 매달려서 이렇게 진동을 하기도 하고 또는 옆으로 진동을 하기도 하고요. 그런가 하면, 약간 굽어진 바닥에서 어떤 물체가 왔다 갔다 하는 것도 진동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진동이라고 하는 것은 어떤 평형점을 기준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것을 우리가 진동으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이 진동은 사실 여러분이 초등학교 때부터 아주 많이 배운 것입니다. 여러분이 기억이 나실 수 모르겠는데,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용수철저울로 어떤 물체의 질량을 재는 것을 아마 배우셨을 겁니다. 중학교 들어가면, 또 용수철의 운동에 대해서 배우고요. 고등학교 들어가면, 또 용수철의 운동에 대해서 배웁니다. 물론 조금씩, 조금씩 어려워지기는 하지만,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럼 대학 들어가면, 뭐 하냐고요? 대학교 1학년 때 또 이거에 대해서 배웁니다. 물리학과 학생들은 2학년에 진학하면, 또 이 진동에 대해서 배웁니다. 대학원에 올라가면, 또 진동에 대해서 배우고요. 그리고 우리 우주의 가장 근본적인 법칙에 대해서 연구한다고 하는 입자물리학자들이나 심지어는 초끈이론을 연구하는 이런 학자들도 맨 처음에 이 진동에 대해서 다시 배웁니다. 왜 그러느냐 하면, 이 진동이 정말 중요한, 그리고 아마도 우리 우주에서 가장 중요한 운동이기 때문에 그럴 것입니다.

진동이 중요한 이유

이 진동이 뭐가 그렇게 중요하냐고요? 물론 이 자체로는 재미없습니다. 때때로 이 진동이 굉장히 엄청난 일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약간 다른 내용이기는 하지만, 실제 이 진동에 의해서 엄청난 피해를 입은 사례가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1940년에 미국 워싱턴 주에서 타코마 브리지라고 하는 다리가 있었습니다. 이 다리가 당시에 최신 공법으로 건설되어서 찬사를 받았던 그런 다리이기도 한데요. 그런데 이 다리가 그만 거기 주변에 부는 바람에 의해서 아주 허무하게 무너져 내린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게 소위 말하는 일종의 공명현상인데요. 아주 간단한 그런 공명현상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는 공명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런데 당시 불었던 바람이 무슨 태풍 수준의 그런 심한 바람이 아니었고요. 아주 살살 부는 보통의 바람이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바람의 특성과 이 다리의 특성이 잘 맞아떨어져서 지금 여러분이 보시다시피 이 다리가 엿가락처럼 휘어지고 진동을 하다가 결국은 무너지게 됩니다. 이 주변에 있었던 카메라 샵 주인이 이게 정말 끊어지겠구나 하는 걸 느끼고 자기 가게에 있던 카메라를 들고 직접 촬영한 것이 이 영상이라고 합니다. 물론 지금은 이러한 재난을 피하기 위해서 미리 뉴턴 방정식을 열심히 잘 분석합니다. 그리고 다리를 설계할 때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 안전하게 설계하죠. 이런 것이 바로 공대의 토목공학과 같은 곳에서 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물론 때때로 이런 설계를 잘못하면, 무너지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도 그런 사례가 몇 번 있죠. 이것이 바로 진동이 심해졌을 때 일어나는 일인데요. 그런데 이 진동하는 모양을 우리가 수학적으로 그려보면, 어떤 곡선이 나오느냐 하면, 소위 말하는 사인 곡선이 나옵니다. 여러분이 화면에서 보시듯이 이 진동하는 진자가 위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면, 사실 시간에 따라서 이것이 그리는 곡선이 여러분이 중학교나 고등학교 때 배우는 정확한 사인 곡선이 나옵니다. 수학 시간에 사인, 코사인, 탄젠트 이런 거 배워서 어디 써먹나 하셨을 텐데요. 사실 이렇게 우리 자연에 아주 자연스럽게 나타납니다. 그런데 바로 이런 진동은 과연 어떤 힘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일까요? 이 힘의 수학적인 법칙을 맨 처음 찾아낸 사람이 뉴턴의 라이벌이라고 불렸던 바로 그 훅입니다.

훅의 법칙

그래서 단진동의 법칙을 후크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후크의 법칙에 의하면 용수철이 늘어나면 원래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또 줄어들면 원래 방향으로 밀어내고. 그래서 줄어들거나 늘어난 길이에 비례하는 힘이 작용한다고 하는데요. 이걸 수학적으로는 F=-kx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서 우리가 수학을 논하자는 건 아니고요. 후크의 법칙을 뉴턴 방정식 F=ma에 집어넣으면, 이게 수학적인 방정식이 됩니다. 그리고 이걸 소위 말하는 미분 방정식을 푸는 방법에 따라서 수학적으로 답을 구할 수 있는데요. 그 답이 무엇이 나오느냐 하면, 정확하게 수학적으로 사인 곡선이 나옵니다. 그래서 수학에서 배우는 그런 사인 같은 것들이 사실 우리 자연에서 아주 엄밀한 이론을 통해서 나오는 것이죠. 그리고 이렇게 용수철에 매달려서 진동하는 이 물체는 몸 스스로 정확한 사인 곡선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진동이 뭐가 그렇게 중요한 것일까요? 아까 우리 자연에서 발견되는 거의 대부분의 현상은 진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했는데요. 왜 그런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물체 하나가 용수철에 매달려서 위아래로 진동하는 모습입니다. 당연히 사인 곡선을 그리고 있겠고요. 별로 재미없는 모습이죠. 그런데 사실 여기서 우리가 옆에 이 물체를 하나 더 연결하면, 그다음부터 재미있는 일이 벌어지기 시작합니다. 지금 여러분이 보시듯이 두 물체가 있는데요. 이 두 물체 중에서 한 물체만 여기로 잡았다가 놓으면, 그럼 이 물체가 진동할 때 옆에 있는 물체가 같이 연결돼 있기 때문에 덩달아 진동하기 시작합니다. 여기까지만 해도 별로 신기한 일이 아니죠. 그런데 이제 우리가 이것을 3개, 5개 이렇게 늘려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이 보시는 이 화면은 3개짜리가 진동하고 있는데요. 물론 2개짜리랑 크게 다를 바가 없지만, 3개짜리의 경우에는 더 많은 것이 서로 옆에 영향을 준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5개짜리입니다. 5개짜리를 보면, 이제 뭔가 약간씩 모양이 드러나기 시작하죠. 이번에는 12개짜리를 볼까요? 12개짜리의 한쪽 끝을 잡고 제가 올렸다가 내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저는 이 12개의 물체 중에서 오직 하나의 물체만을 위로 잡았다가 놓았을 뿐인데, 그 영향이 점차적으로 저 반대쪽 끝까지 전파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대쪽 끝에 미쳤던 그 영향은 다시 첫 번째 물체에 되돌아와서 영향을 미치게 되죠. 마지막으로 이번에는 20개를 연결한 모습을 보시겠습니다. 제가 하나를 잡고 다시 위로 올렸다가 놓습니다. 그러면 그 첫 번째 물체는 두 번째 물체에 영향을 미치고 두 번째 물체는 세 번째 물체에 영향을 미치면서 그 영향이 점점 퍼져나가게 되죠. 여러분이 여기서 어떤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까? 바로 파동입니다.

파동은 단진동을 일으키는 물체들의 결합

파동은 우리 주변에 아주 다양하게 형성되죠. 예를 들면 우리가 어떤 줄을 잡고 한쪽을 흔들면, 그 영향이 반대쪽으로 전파됩니다. 그 줄을 타고 말이죠. 그런데 그 영향이 어떻게 해서 전파되는 것일까요? 그것이 바로 여러분이 지금 보시는 바와 같이 수많은 단진동을 하는 그런 입자들이 서로 연결돼 있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우리가 줄을 자세히 크게 확대를 하면, 그 줄도 역시 아주 많은 원자들로 이루어져 있을 텐데요. 그 원자들과 원자들 사이에는 이렇게 단진동을 하는 용수철에 의해서 연결돼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쪽에서 일어난 단진동이 다른 쪽으로 점차적으로 전파가 되는 것이죠. 이것이 바로 파동입니다. 저는 여기서 여러분에게 줄, 즉 1차원 물체에 대해서만 말씀드렸지만, 사실 이거는 1차원 물체뿐만 아니라 더 일반적으로도 성립합니다. 예를 들면, 여러분이 돌멩이를 들어서 연못에 던졌다고 해봅시다. 그럼 그 돌멩이가 연못 속으로 들어가면서, 풍덩 하면서 주변에 물결파를 일으킵니다. 연못 표면은 동심원을 그리면서 그 물결파가 전파되어 나가겠죠. 어떻게 이런 물결파가 일어나는 것일까요? 연못 표면도 역시 크게 확대를 해보면, 물 분자들이 서로 모여서 이루어져 있습니다. 거기에서 어느 한쪽 물 분자를 잡고 흔들어주면, 그럼 그 영향이 그다음 물 분자에까지 전달되는 것이죠. 그래서 한쪽의 영향이 다른 쪽으로 전달이 되고 또 다른 쪽으로 전달이 되고 하면서 그것이 점차적으로 멀리까지 퍼져나가면, 그것이 우리가 보기에 동심원을 그리면서 물결파가 퍼져나가는 것으로 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이런 우리가 보는 물질들은 그 사이에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용수철들로 연결이 돼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여러분이 지금 앞에 있는 책상을 차 보십시오. 퉁 하면서 진동 소리가 나죠. 그리고 그 진동이 다른 쪽으로 전달됩니다. 그러한 전달이 바로 파동이고요. 그 파동이 어떻게 해서 일어나느냐? 그러면 바로 이렇게 아주 작은 입자들이 단진동으로 영향력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파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즉, 이런 모든 파동들은 단진동을 일으키는 물체들의 결합이다. 이렇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